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정리

by 도움블로그 2024. 10. 15.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조건만 충족하면 적극적으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4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제도가 개선되고 조건이 완화되면서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24년 달라진 장점들, 신청 방법, 만기수령액 관련 모든 내용에 대해 다뤄볼 테니 천천히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미리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 간단 설명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이 중장기적으로 목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월 최대 70만 원씩 5년 동안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 원의 큰 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을 위한 연령과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가입 연령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연령은 만 19세에서 34세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1990년생부터 2005년생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병역을 이행한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어 가입 가능 연령이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2년 복무를 했다면 만 37세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소득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소득 조건은 개인 소득이 연 7,500만 원 이하이며,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250% 이하인 청년입니다.

 

개인 소득은 근로 소득과 사업 소득을 모두 포함합니다.

 

위에 설명드린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모두 만족하더라도 소득이 없을 경우 가입하실 수 없습니다.

 

2023년에 가구 소득 중위소득이 180%조건에서 250%이하로 개선이 되면서 조건이 완화됐는데요. 아래 표는 2023년 중위소득의 250% 기준으로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월 소득 62,336,760원 103,684,650원 133,044,480원 162,028,920원

 

청년도약계좌는 공무원도 가입할 수 있지만, 소득이 없는 취업 준비생이나 대학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은행 이자 외에도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의 기여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총급여가 2,400만 원(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인 분들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 것이 반드시 이득입니다.

특히, 육아휴직 급여와 군 장병 급여도 개인 소득으로 인정되어 육아휴직이나 군복무 중인 분들도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이 없었기 때문에, 가입 후 5년 동안 해지할 수 없다는 점이 고민이셨던 분들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그러한 걱정이 사라졌습니다. 청년도약계좌 2024년의 변화에 대해 바로 살펴 보시죠.

 

 

 

청년도약계좌 신청시기

청년도약계좌 신청시기 별로 남지 않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10월 가입 신청 기간은 10월 4일(수)부터 10월 17일(화)까지입니다. 가입 요건을 확인한 후에는 11월 1일(수)부터 11월 17일(금)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가입 심사 기간이 2주로 단축되었습니다.

 

아래 공유드린 파일은 10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기간 및 계좌개설 일정 캘린더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10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hwp
0.01MB

 

 

✔️ 9월에 가입 신청을 한 청년 중, 가입 요건 확인 절차를 통해 가입이 가능하다는 안내를 받은 경우, 신청한 은행 중 한 곳을 선택하여 10월 4일(수)부터 10월 17일(화)까지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 기존 신청자 중 가입 요건 확인 절차를 완료하지 못했거나, 기한 내에 계좌 개설을 하지 못한 청년들도 재신청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 요건을 다시 확인하고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2024년부터 변경되는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시 비과세 혜택 유지

청년도약계좌 비과세 혜택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중도해지 시 비과세 혜택이 계속 유지된다는 점입니다. 아무리 좋은 조건이 있다고 해도, 큰 돈이 오랫동안 적금에 묶이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결혼과 출산이 특별 중도해지 사유로 추가되어 총 8가지 사유가 설정되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특별 중도해지 사유 8가지
  1.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외 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4. 천재지변
  5.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6. 생애 첫 주택 구매
  7. 혼인
  8. 출산

이 중 하나에 해당하면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기존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돈이 필요한 청년들은 손해 없이 중도해지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특별 중도해지가 불가능한 경우

특별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를 하면 비과세 적용과 함께 매칭 비율의 60%에 해당하는 정부 기여금이 지급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요약

  • 특별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 비과세 적용 및 정부 기여금 지급
  • 3년 이상 가입 후 중도해지: 비과세 적용 및 정부 기여금 60% 지급

기존에는 중도해지 시 손해가 발생할까 걱정했지만, 이제는 중도해지를 해도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비과세 소득 증빙 대상자는 신청 마감일 D-2(마감일로부터 2영업일 전)까지 가입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허용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4년 1월 25일부터 연계 가입 일정이 운영되므로, 청년희망적금이 만기된 후 바로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일시납입 시 약 35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어 매우 유리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만기일이 포함된 달의 다음 달까지만 일시납입 신청이 가능하니 유의하세요. 예를 들어, 5월 만기자는 다음 달인 6월 30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비과세 소득 기준 합리화

2024년부터는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았을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작년에는 비과세 여부가 사후 검증을 통해 확인되었지만, 올해부터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비과세 판단이 이루어집니다.

 

적금 대신 투자를 해도 연 수익률 10%를 기대하기 어려운 요즘, 약 9%의 수익이 예상되는 청년도약계좌는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가능 여부

정부 지원 상품인 만큼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과거 정부 지원 상품의 사례를 보면, 만기 이후 추가 가입이나 갈아타기는 가능했던 경우가 있습니다.

 

신청 기간 전에 해지하거나 갈아타기를 진행할 경우, 중도해지 이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중도해지 이율은 처음 가입 시 약속한 이율이 아닌, 중도 해지 시 별도로 적용되는 이율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절차 및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앱에서 간편하게 검색하고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은행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모바일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니, 자주 사용하는 은행의 앱에 접속해 보세요.

 

검색창에 "청년도약계좌"를 입력하면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각 은행의 가입 방법입니다.

 

 

국민은행 (KB스타뱅킹)

  • 메뉴에서 [적금]을 선택
  • 검색창에 [청년도약계좌] 입력
  • KB청년도약계좌 클릭

 

신한은행 (신한 Sol)

  • 전체 메뉴에서 [청년도약계좌] 검색
  • 신한 청년도약계좌 선택

단,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신청은 은행 영업시간 내에만 가능하니 이 점도 꼭 기억해 두세요.

 

 

 

청년도약계좌 만기 수령액

적금에 가입하면 이자소득세가 발생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15.4%의 이자소득세가 면제되어 일반 적금보다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과 우대금리를 포함해 연 6%의 이율을 제공받으며, 정부 기여금도 추가로 지급됩니다. 이로 인해 은행 정기적금의 평균 금리인 3.54%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 은행 적금은 이자소득세로 58만 원이 차감되는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그 수익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월 70만 원씩 납입하면 5년 뒤 만기 수령액은 5,001만 원이 되며, 이는 821만 원의 추가 수익을 의미합니다. 일시납입을 선택하면 만기 수령액은 5,056만 원으로, 총수익은 856만 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를 앞두고 있는 분들은 일시납입도 고려해 보세요.

 

 

 

오늘은 2024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가입을 고민하셨던 분들은 제도가 개선된 지금이 좋은 기회입니다. 기간이 얼마남지 않았으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